유흥주점의 단골손님은 사장이 반드시 챙긴다!
유흥주점의 단골손님은 대게 실장의 영입으로 매출을 도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유흥업소의 소위 잘나가는 실장은 왠만한 대기업의 연봉에 달하는 만큼의 대우를 받고 스카웃을 받아 매장을 옮겨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그만큼 실장의 권한과 대우도 날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다.
높은 임금과 자칫 실장의 스카웃으로 인해 영업선이 끊어지는 경우다.
대게 실장은 손님의 연락처를 기존 주인에게 다 넘겨주고 가는 조건으로 일이 마무리 된다 손 치더라도 손님당 수당을 받는 형태의 계약도 많아 대부분 제2의 매장으로 영업선을 별도로 구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가급적 실장과 좋은 관계로 오랫동안 유흥주점의 단골손님을 형성, 관리하면야 문제가 없지만 사업을 하시는 분은 만약의 사태에 최소한의 대비는 해야 한다.
가끔 현장 컨설팅을 다녀보면 이점에 가장 거부감을 가지시는 창업주 분들이 많다.
" 제가 체질상 영업은 못해서요"
" 업종이 업종인지라 적성에 맞지 못해서요"
" 성가신 일이고 남자인 제가 남자손님 오시라고 어떻게..."등의 사유다.
같은 컨설팅을 해드리더라도 이런경우가 효과면에서도 더디고 힘든부분이 아닐 수 없다. 실장 구하기도 바쁜데 어떻게 영업까지 신경을 쓰냐는 것이 대부분의 반응. 이럴때마다 필자는 "사장만의 영업라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낀다.
금일은 실장의 영업력에 날개를 달고 실장이 없더라도 손님을 모두 털리는 것이 아닌 사장님도 당당하게 유흥주점의 단골손님을 대상으로 영업할 수 있는 운영비법 한가지를 추천해 드린다.
■ 명함통마케팅
유흥주점의 단골손님을 위한 명함통을 만들어 노출킨다!/ 출처: 상단 표기 그림 다음카페
고객관리를 명함통으로 대신하는것이 한 방법!
일부러 말을 할 필요도 없고 그냥 계산대 앞에 이런식의 명함통을 만들어 운영하는것이다. 단, 명함통 위아래에는 일정문구로 고객의 해택을 노출시키는 것이 포인트인데 고객이 혜택을 알 수 있도록 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문구는
" 명함대로 예약을 하시면 최고의 혜택을 드립니다"
" 단골고객의 혜택! 열가게 안부럽다,(문의는 사장님께~)"
" 한번 경험하면 계속하게되는 예약서비스의 비밀" 등 뭔가 있어보이게 하는 문구면 충분하다.
물론 처음 손님은 거리낌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통의 윗부분을 투명하게 만들어 남의 명함 아무것이나 몇개를 바닥에 깔아주면
어느정도의 거리낌을 줄일 수 있어 좋은 방법이 된다.
그렇다면 단골손님의 혜택이 중요한데 그것은 고객이 좋아할만한 요소로 구성하면되는데 핵심은
1. 주대 2.도우미선택 3. 안주 4. 할인마일리지 5. 귀가대리운전비 등등 고객에게 혜택으로 준비를 하면 되는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제로 전적으로 실장에게만 의존하던 영업비중을 사장님과 그 사장님만의 매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실장이 다른 매장에 가서 써 먹으려해도 업주의 노하우와 동의가 없다면 구사하기 어려운 방법이여서 실장스카웃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명함마케팅을 실시하면 실시할 수록 매장의 격조가 올라가고 법인,기업체의 매출비중이 올라가 객단가도 높게 나오게 된다. 또한 평소의 영업도 고객 휴대전화로 문자발송을 쉽게 할 수 있어 좋다.
실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식은 언젠가는 나에게 해가 될 수 있다. 이때를 대비해 유흥주점의 단골손님 만큼은 창업주님이 직접 어느정도 관리를 하시는것이 결국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대한창업경영연구원 원장 창업컨설턴트 김영익
'업종별 기본코칭(칼럼) > 유흥주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칼럼3. 유흥주점창업과 운영! 고정과 보도의 차이는 이런것이다/대한창업경영연구원 울산교육원 (0) | 2015.10.06 |
---|---|
[스크랩] 칼럼2. 유흥주점,노래방창업. 성공은 매장컨셉과 그에 맞는 도우미가 핵심키워드/울산교육원 (0) | 2015.09.11 |
유흥업소의 종류에 대해 알고 창업시작해야... (0) | 2012.10.03 |
유흥주점 단골관리! 확실하게 우대하고 보상한다. (0) | 2012.10.03 |
직원의 로테이션 (0) | 2012.10.03 |